Cursor가 디자인 시스템 컴포넌트를 모르는 게 너무 답답해서 - MCP 도입기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활용해 사내 디자인 시스템의 컴포넌트 정보를 AI에게 제공하여 개발자 경험을 개선한 과정을 공유합니다.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활용해 사내 디자인 시스템의 컴포넌트 정보를 AI에게 제공하여 개발자 경험을 개선한 과정을 공유합니다.
유한 상태 기계를 활용해 복잡한 퍼널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올해는 어떤 경험들을 했을까요? 내년엔 어떤 부분들이 더 나아질 수 있을까요?
트리쉐이킹에 유리한 패턴과 이를 위해 여러 라이브러리들이 택한 방법을 알아볼까요?
GitHub Actions의 Composite Actions를 사용하여 CI/CD 파이프라인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스포하자면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에 알맞게 만들어야한다(?) 당연한 것 아닙니까?,,
코어자바스크립트를 읽고 얻은 지식 중 실행 컨텍스트, 콜스택 | JS Execution Context, JS CallStack
42서울의 과제 중 get_next_line 을 하며 배웠던 fd, static, gcc 등등,,
next.js 로 개인 블로그를 만들며 느낀 것들, SSR & SSG, font-flickering 해결